보통 학점은행제 학은제를 통해서 기사 응시자격을 얻는 방법을 선택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고등학교 재학 또는 고졸 출신이 기사 자격증을 따신다고 하면 믿으시겠나요? 전문대 재학생 이신분들도 가능하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능한 과정평가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과정평가형 응시자격
과정평가형 응시자격은 검정형과 달리 별도의 응시자격 없이 원하시는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훈련을 성실히 임하는 자입니다. 또한 비용 지원 훈련기관인 경우 내일배움으로 국비지원을 받으면서 다니실 수도 있습니다.
검정형 과정형 차이점
과정평가형 합격기준은 내부 외부 50%씩 1:1 비율로 반영하여 평균 80점 이상 받으시면 바로 자격증 발급됩니다.
산업기사 응시자격
1. 기능사(타 산업기사, 타 자격 포함) 이상 + 실무 경험 1년 이상
2. 동일분야 자격 산업기사 이상
3. 2년제 또는 3년제 관련 학과 졸업(예정) 자
4. 4년제 관련 학과 전과정의 절반 이상 수료자
5. 실무경력 2년 이상
6. 학점은행제로 41학점 이상 보유자
기사 응시자격
1. 4년제 대학 관련학과 졸업(예정)자
2. 전문대 졸업(관련학과) 후 실무경력 필요
(2년: 실무경력 2년 / 3년: 실무경력 1년)
3. 순수 실무경력 4년 이상
4. 동일분야 기사 이상
5. 기능사 + 3년 이상 실무경력
6. 산업기사 + 1년 이상 실무경력
7. 학점은행제 106학점 이상 보유자
위는 우리가 익히아는 일반적인 검정형에 응시할 경우 자격조건들입니다. 하지만 과정평가형은 별도의 자격 없이 바로 원하는 자격종목명만 아신다면 훈련기관에서 응시 할 수 있습니다.
과정평가형 자격증 종목 종류 간편검색
과정평가형 자격증 종목 및 국가기술자격증 종류가 머머 있는지 알기 힘들어 간편 검색할 수 있도록 목록을 만들었습니다. 응시자격은 따로 없고 내일배움카드로 국비지원 받아서 기능사 산업
jobapply.tistory.com
과정평가형 시험일정
과정평가형 외부평가 시험일정은 총 6회 입니다. 1년에 자격증 응시횟수는 2~3회 텀이 긴것에 반면 1년에 6번 볼 수 있습니다. 과정평가형 외부평가 재응시 면제 횟수는 2년 똑같습니다.
과정평가형 장점
과정평가형 장점은 내가 익숙한 환경에서 익숙한 사람들과 같이 시험을 볼 수 있다는게 최대 장점
과정평가형 학원비 수강료
시행기관이 직업전문학교에서는 대부분 내일배움카드로 전부 국비지원이 가능한데, 다만 수업료 한도가 400만 원이 넘는 일반계좌제 훈련으로 승인받은 경우 전액 지원 불가하므로 해당 훈련 기관에 사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과정평가형 면제 과목
과정평가형 면제과목은 검정형과 달리 없습니다.
과정평가형 검정형 중복응시
과정평가형다니면서 검정형 중복응시가 가능하나 다만 검정형의 응시자격이 되는 한에서 가능하고, 과정평가형 또는 검정형으로 둘 중 하나를 따고 똑같은 종목에 응시하실 경우 됩니다.
자격수첩에 기재내용이 틀려서 중복으로 취득하셔도 무관하고 과정 평가형 응시료는 현재 면제이나, 검형형으로 보실 경우 수수료 및 응시료는 자부담하셔야 합니다.
자격증 응시자격 가장 빠른 단기간 취득 방법
1. 고등학교 때 과정평가형을 이용해 산업기사 또는 기사를 취득해 원래 본인이 원하는 동일직무 또는 유사직무 자격증을 취득한다.
2, 전문대 과정의 일환인 폴리텍 中 기능장 과정을 통해 기능장 취득 후 동일 또는 유사직무 자격증을 취득한다.
댓글